주식에 있어서 이동평균선의 의미는 중요합니다. 이동평균선은 대표적으로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 그리고 배열, 추세반전, 약세~강세 국면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은 말 그대로 추세의 변동을 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동평균을 구할 경우 만약 3일의 이동 평균을 구한다고 하면 1~3일까지 주가가 다음과 같으면
1일 : 100 만원
2일 : 120 만원
3일 : 105 만원
(100 + 120 + 105)/3 = 3일 이동평균값으로 정해집니다.
약 108쯤 나오게 되네요
이동평균선은 기준 기간 동안 평균 매매의 가격을 어느 정도 알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추세 분석에 이동평균선을 자주 이용합니다.
"매수세가 강해지면 이동평균선은 상승하고, 매도세가 강해지면 이동평균선은 하락하기 때문"
주식 시장은 토,일을 제외한 5일 간 열리기 때문에 5일 이동 평균선을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데드크로스와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데드크로스는 주가가 이평선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하향 돌파할 때 발생하니다. 보통 주식을 갖고 있으면 안 되는 시점이라 판단하고 매도 시점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상승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하락이 올 것이라 예상합니다.
골든크로스
골든크로스는 주자가 이평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승 돌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매수 시점이라 생각하며 하락이 끝나고 주가 상승이 이루어질 것이라 예상합니다.
정배열 역배열
단기-20일선, 중기-60일선, 장기-120일선
정배열은 주가가 단기이동평균선에서 중기이동평균선 마지막으로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순서로 배열된 상태를 말합니다.
보통 우상향 모형의 형태를 뜁니다.
역배열은 주가가 장기이동평균선에서 중기 이동평균선 마지막으로 단기이동평균선 순서로 배열된 상태를 말합니다. 역배열과 거꾸로 배열된 모양입니다.
보통 우하향 형태를 뜁니다.
그래서 보통 이러한 배열들에서 120일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주가의 상승과 하락 반전 시 자주 사용합니다.
장기 이동평균선에서 주가가 상향 돌파하는 경우는 상승 추세 반전의 가능성이 크고, 그 반대일 경우는 하락 추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외 상황
하지만 만약 모든 주식들이 이런 식으로 흘러가서 예측이 가능하다면 주식 투자자들 모두가 수익을 내겠지요 하지만 모두가 이런 식으로 흘러가지는 않습니다.
골든크로스일 때나 데드크로스 시기 때 조정기가 올 확률이 있어 매수시점이 서로 반대가 될 수도 있기 때문
"주식투자는 개인의 몫입니다.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금융제테크상식 >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 지지와 저항 (0) | 2020.09.11 |
---|---|
카카오게임즈 상장 '따상' 화려한 데뷔 (0) | 2020.09.10 |
공모주 청약 일정 확인 알아보자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