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제테크상식

부자되기 첫번째 자산 포트폴리오 짜기

by 유익한일상입니다 2020. 8. 30.
반응형
728x170

오늘은 사회초년생이나 수익활동을 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꼭 해야 할 '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또한 초년생이 아니더라도 은퇴를 앞둔 시점에서는 자산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

포트폴리오는 자산 운영에서 쓰는 용어일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디자인 포트폴리오, 프레젠테이션 프토 폴리오 등이 있습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포트폴리오는 주식, 부동산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주식에서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방법을 여러 개의 포트폴리오를 짰다.라고도 이야기합니다.


자산 관리는 언제부터?

자산 관리에는 정해진 방도가 없습니다. 평소에도 검소하게 돈을 저축하시는 분들이 시라면 훨씬 유리하게 다가갈 수 있고, 소비를 하시는 분들의 경우도 어느 정도의 금액은 모아두시면 충분히 자산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자산 관리는 경제적 활동을 시작했을 때부터 하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즉 취업이나 창업을 시작한 이후입니다.


자산 관리 나이와 상황별 포트폴리오 짜기?

자산을 관리를 시작하는 나이에도 여러 가지 의견이 있고 투자의 비율도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투자를 할 경우 '100 - 자신의 나이'로 계산을 합니다. 20대의 경우라면 80이라는 수치가 나오니 80%는 공격적인 투자 20%는 적금 같은 안정적인 투자를 하는 방법입니다. 그 이유는 20대의 경우는 재취업이나 취업이 쉽기 때문입니다. 물론 각자의 상황에 따라 계산법을 달리 할 필요가 있습니다.

30대의 경우는 공격적인 투자 70%, 안전 투자 30% 수치가 나오지만 결혼을 했다는 가정 시  두 가지의 퍼센티지가 바뀌어야겠지요. 이렇게 상황에 따라 적절히 수치를 조절하시면 됩니다.

"자산 포트폴리오를 짤 시 위험 수준, 유동성, 법규 문제, 고위험 자산 투자, 저 위험 자산 투자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


자산 포트폴리오의 예

50대의 중반의 부부로 가정했습니다.

투자 설계 부문에서는 가지고 있는 자산과 수입을 계산 후 소비 비용에 대해 계산을 합니다.

그 이후 중, 장기 소비액을 따져보고 은퇴 후 추가 수입원을 계산해봅니다.

위험 수준과 유동성(돈의 흐름)을 고려합니다. 또한 자산의 안정성을 토대로 투자기간과 위험성 법규 문제를 따져봅니다.

이후 정보들로 고위험 자산 투자나 안정한 상품 투자의 비율을 조정해봅니다. 이후 내용은 2부에서 추가로 진행됩니다.


<2부>

 

제테크 자산 포트폴리오 만들기 2부

1부에 이어서 2부의 내용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하단 글의 수익률과 투자방법은 예시입니다. 부자되기 첫번째 자산 포트폴리오 짜기 오늘은 사회초년생이나 수익활동을 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

djhand.tistory.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