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제테크상식/주식투자

인버스 ETF란? 주식 투자 기법

by 유익한일상입니다 2020. 9. 4.
반응형
728x170

주식 시장을 어느 정도 접해본 분들은 인버스(INVERSE)와 ETF의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주식시장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가치가 오르거나 이슈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면서 주주들이 수익을 얻게 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인버스의 경우는 그 반대입니다.

인버스는 단어 그대로'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주식시장에서도 인버스는 주가가 상승할 때 손해를 보고 주가가 하락할 때 수익을 보는 구조입니다. 어떻게 보면 선물 옵션과 어느 정도 비슷한 점이 있습니다.

 

선물 옵션의 개념 제테크 방법

증권시장에서 거래는 주로 주식투자를 위주로 흘러갑니다. 하지만 증권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거래를 해보신 분들은 선물 옵션 이란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이 정보를 전해드리려 ��

djhand.tistory.com

인버스는 현물이라 지금의 지수가 떨어지면 수익이 나고, 선물은 미래의 전망 지수인 '선물 지수'가 떨어지면 수익이 나는 방식입니다.

즉 인버스는 주가 하락 시 수익을 얻기 때문에, 주식의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 투자를 하는 방식입니다.

보통의 인버스 매매는 ETF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쉬운 방법에 속합니다. 


ETF 

'ETF(Exchange Traded Funds: 상장지수펀드)

상장지수펀드로 특정 지수를 모방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산출된 가격을 상장시킴으로써 주식처럼 자유롭게 거래되도록 설계된 지수상품'

ETF는 Exchnage Traded Funds의 약자입니다. 상장지수 펀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특정 지수를 갖고 있고 주식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주식처럼 매매가 가능합니다.

ETF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간편하고 다양하게 투자 가능

2. 실시간 조회와 매매가 가능

3. 가격 변동 파악과 투자의 판단이 용이

4. 변동성이 낮다

5. 수수료가 저렴

6. 정보 공개와 투명성

ETF의 단점으로는 거래량이 적거나 유동성이 낮아지면 매매가 힘들어집니다. 

그러면 ETF의 왜 투자를 하는가? 간단하게 한 마디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떨어질 거 같으니까"


인버스의 종류

인버스는 일반적으로 지수를 가지고 상품을 만듭니다. 한국의 경우 코스피, 코스닥이 기준이 됩니다. 미국 같은 경우는 나스닥 지수가 있겠지요

대표적인 ETF 상품들

KIDDEX 인버스

KODEX 인버스

TIGER 인버스

KOSEF 코스닥 150

KBSTAR 코스닥 150

ARIRANG 코스닥 150


인버스 같은 경우는 의견이 생각보다 분분하고 어느 정도 구설수 가 있는 투자기법입니다. 주식 투자가 처음이거나 초보자이신 분들은 더욱 공부를 하신 뒤 인버스와 ETF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 글은 제 생각일 뿐입니다. 투자는 언제나 개인의 몫입니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그리드형

'금융제테크상식 >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거래시 증권사 수수료 비교  (0) 2020.09.09
나스닥 밤 사이 폭락  (0) 2020.09.04
작전주 세력주 주식 시장  (0)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