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제테크상식/부동산정보

집값 사상 최고, 주말 시위

by 유익한일상입니다 2020. 7. 26.
반응형
728x170

지난해 우리나라 집값의 시가총액이 5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택 시세의 시가 총액은 5천56조 7천9249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그 전년과 비교해 7.4% 증가한 수치입니다. 

2016년의 경우 4000조 원대로 올라 선뒤 3년 만에 1000조나 더 상승하였습니다. 경제 성장세와 비교를 해보면 주택 시장의 경우 GDP 대비 집값의 시가총액의 배율은 2.6배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현재  22차에 걸쳐 많은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지만 큰 효과는 내지 못하였고 집값은 더욱 가파르게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국내 가계 자산의 대부분은 부동산이고 주택담보대출의 수가 많아 집값 배율의 상승이 부정적인 이유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경제 성장이 부동산에도 반영이 돼 집값의 배율이 오르는 건 일반적인 흐름이고 집값이 오를 경우 가계의 부채의 이유를 설명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이어지는 급격한 집값 상승은 전국적으로 오른 형국이 아닌 수도권과 강남을 중심으로 집값이 올라 결과적으론 지역에 따른 양극화가 심해졌습니다.

현재 22번의 걸친 부동산 정책 시행을 통해 규제지역을 넓히고 종부세와 양도세를 올리고 있지만 집값의 변동이 거의 없어 수도권에 주택의 공급을 늘리는 방안과, 행정수도 이전 방안등을 이용해 안정화를 한다고 했습니다.

https://djhand.tistory.com/157

 

부동산 정보 재산세 폭탄+종부세. 1주택자의 부담

내용 정리 올해 재산세 고지서가 발송되면서 시민들의 부정적인 여론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재산세가 오른 이유는 과세표준이 되는 공시 가격의 상승이 영향을 줍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 다�

djhand.tistory.com

7월 25일은 '나라가 니꺼냐' 라는 특정 키워드로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노출을 시켰습니다. 이 실검 챌린지의 경우 각종 단체와 커뮤니티 회원들이 주축으로 벌인 활동이고 서울 중구 예금보험 공사 앞에서는 '부동산 규제 정책 반대'에 대한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참석자는 2000여 명 정도가 모인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https://djhand.tistory.com/102

 

부동산 정책 다주택자, 갭투자 압박

어제 포스팅에 이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현재 부동산 정책 주요쟁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다주택자 종부세 최고세율 3.2% => 6% 2. 1년미만 소유 주택 양도세율 70%로 인상 (2년미만 60% 현재는

djhand.tistory.com

제 생각)

현재 대한민국 집값의 가장 큰 문제는 양극화 현상이 더욱 커진것이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광역시와 주변의 위성도시를 제외하고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형국이며 빈 토지와 아파트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도권에 산업과 교육이 집중 되어있는 이유가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반응형
그리드형